📌프로시저란
- DB 에 대한 일련의 작업을 정리한 절차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 저장한 것이다.
- 넓은 의미로 어떠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절차를 뜻한다.
- 쿼리문을 하나의 메서드 형식으로 만들고 어떤 동작을 일괄적으로 처리하는 용도로 쓰인다.
- 만약 여러 개의 칼럼을 조회하거나, 여러 개의 테이블을 조회하려고 할 때
이것을 하나의 쿼리문으로 만들려면 복잡하고 긴 쿼리문이 생성한다.
이렇게 여러 개의 쿼리를 사용할 때 일일이 긴 쿼리문을 사용하게 된다면 불편하기에
이를 프로시저에 저장하여 호출한다.
- 하나의 요청으로 여러 SQL문을 실행시킬 수 있기때문에 네트워크 부하를 줄일 수 있다.
- API처럼 여러 애플리케이션과 공유가 가능하다
- 특정한 기능을 변경 시 프로시저만 변경하면 되기에 기능 변경이 편리하다.
- 프로시저가 앱의 어디에 사용되는 지 확인이 어렵기에 유지보수가 어렵다.
- 문자나 숫자 연산에 프로시저를 사용하면 오히려 C나 JAVA보다 처리 성능이 느리다.
- 함수와 비슷하다. 함수와의 차이점도 알아두자
📌 함수란?
- 하나의 특별한 목적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설계된 코드의 집합이다.
- 즉, 함수가 여러 작업을 위한 기능이라면 프로시저는 작업을 정리한 절차다.
- 보통 로직을 도와주는 역할이며, 간단한 계산, 수치 등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 프로시저와 함수 차이점?
프로시저 | 함수 |
특정한 작업을 수행한다 | 특정한 계산을 수행한다 |
리턴값을 가질 수 도 있고 안가질 수도 있다 | 리턴값은 반드시 가져야 한다. |
리턴값을 여러개 가질 수 있다 | 오직 하나의 리턴 값을 가질 수 있다 |
서버(DB)에서 기술 | 화면(Client)에서 기술 |
수식 내에서 사용이 불가능하다 | 수식 내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
단독으로 문장 구성이 가능하다 | 단독으로 문장 구성이 불가능하다 |
함수는 프로시저를 포함하고 있는 개념이다.
이러한 프로시저를 포함한 함수들이 여러개 모여 하나의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을
절차지향적 프로그래밍이라고 한다.
'IT - Introduction to Computer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지식] 샌드박스[sandbox]란? (0) | 2022.06.10 |
---|---|
[IT지식] 프로토콜(Protocol)이란? (0) | 2022.06.09 |
[IT지식] 쓰레드(Thread)란? (0) | 2022.05.30 |
[IT지식] CSV파일이란? (0) | 2022.05.26 |
[IT지식] dll파일이란? (0) | 2022.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