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 노드들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디지컬 전기 통신망의 하나이다. - 즉, 분산되어 있는 컴퓨터를 통신망으로 연결한 것을 말한다. - 네트워크에서 여러 장치들은 노드 간 연결을 사용하여 서로에게 데이터를 교환한다. * 노드 : 네트워크에 속한 컴퓨터 또는 통신 장비를 뜻하는 말 |
📌 인터넷이란?
- 문서, 그림 영상과 같은 여러가지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구성된 세상에서 가장 큰 전세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 흔히 www 를 인터넷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www는 인터넷을 통해 웹과 관련된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이다. |
📌 네트워크의 분류 - 크기에 따른 분류
LAN (Local Area Network) | WAN (Wide Area Network) |
- LAN은 가까운 지역을 하나로 묶은 네트워크 | - 멀리 있는 지역을 한데 묶은 네트워크 - 가까운 지역끼리 묶인 LAN과 LAN을 다시 하나로 묶은 것 |
📌 네트워크의 분류 - 연결 형태에 따른 분류
Star 형 | Mesh형 |
- 중앙 장비에 모든 노드가 연결 | - 여러 노드들이 서로 그물처럼 연결 |
📌 네트워크의 통신방식
- 유니 캐스트 : 특정 대상이랑만 1:1 로 통신 - 멀티 캐스트 : 특정 다수와 1 :N으로 통신 - 브로드 캐스트 :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대상과 통신 |
📌 프로토콜이란?
- 프로토콜은 일종의 약속, 양식 - 네트워크에서 노드와 노드가 통신할 때 어떤 노드가 어떤 노드에게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보내는지 작성하기 위한 양식 - 택배는 택배만의 양식/ 편지는 편지만의 양식/ 전화는 전화만의 양식이 있듯이 - 각 프로토콜들도 각 프로토콜만의 양식이 존재한다. |
📌 실습 1 - 구글과 나는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 지 확인해보기
시작 > CMD 실행 > CMD 에서 tracert 8.8.8.8 로 확인 (8.8.8.8 은 구글 DNS IP 주소) - 구글까지 도달하기까지 총 14개의 네트워크의 대역을 거쳐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보통 모든 주소연결은 15개 내외에서 도달 가능하다) ![]() - tracert란?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동안 통과하는 경로의 정보와 각 경로에서의 지연 시간 및 ip를 확인할 수 있는 툴이다. 즉, 쉽게 말해 경로 추적 툴이라고 할수있다. |
📌 실습 2 - Wireshark 설치
1. 구글에서 wireshark 를 검색 후 사이트 접속하여 각 운영체제에 맞는 버전을 설치한다.
https://www.wireshark.org/download.html
Wireshark · Download
Wireshark: The world's most popular network protocol analyzer
www.wireshark.org
2. setup 시 install npcap 부분은 체크 해제 한다. (wireshark 자체 라이브러리인데, 연동이 잘안됨)
3. Get winPcap 버튼을 클릭하여 winPcap을 다운로드 한다.
4. wireshark 실행 > 본인 pc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통신하고 있는 프로토콜들이 쭉 나타난다.
wireshark 에서 확인해보면 한 번에 데이터를 보낼 경우, 여러 프로토콜들을 동시에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웹으로 데이터를 보내고 싶다면 [Ethernet]+[IPv4]+[TCP]+[HTTP와 데이터] 형태로 보내게 된다.
📌 해당 글은 '따라하면서 배우는 IT - 네트워크 기초' 강의를 보며 작성하였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NetWork > 네트워크 기초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기초이론] 6. 멀리 있는 컴퓨터끼리는 이렇게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0) | 2023.05.04 |
---|---|
[네트워크기초이론] 5. 통신하기 전 반드시 필요한 ARP 프로토콜 (0) | 2023.05.03 |
[네트워크기초이론] 4. 실제로 컴퓨터끼리는 IP주소를 사용해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0) | 2023.05.03 |
[네트워크기초이론] 3. 가까이 있는 컴퓨터끼리는 이렇게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0) | 2023.05.03 |
[네트워크기초이론] 2. 네트워크의 기준/ 네트워크 모델 (0) | 2023.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