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dds and Ends/economy

[경제상식] 4. ETF (1)

개발자하소서 2025. 7. 4. 14:10
728x90
반응형
SMALL

📌 ETF란? 

 

ETF는 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로, 우리말로는 ‘상장지수펀드’라고 부른다.


쉽게 말해, 펀드를 주식처럼 사고팔 수 있게 만든 상품이다.

 

 


📌펀드란?

 

펀드는 ‘자산운용사’가 여러 사람의 돈을 모아 대신 투자해주는 금융 상품이다.


개인이 직접 투자하는 것보다 리스크를 줄이고, 수익률을 높이기 위한 방식이다.

 

하지만 일반적인 펀드는 단점이 있다.

  • 수수료나 비용이 발생하고
  • 매매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 (2~3일, 길면 일주일 이상)

 


📌 ETF는 펀드의 단점을 보완한 상품이다

 

  • 펀드를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거래할 수 있다.
  • 투자 대상이 분산되어 있어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 매매 방식이 주식과 같아 상대적으로 간편하다.

그래서 재테크를 처음 시작하는 사람에게 ETF가 적합하다.

 

 


📌 ETF의 종류

 

 

  1. 지수형 ETF
    • 가장 기본적인 형태
    • S&P500, 코스피 같은 주가지수를 따라간다
    • 예: S&P500이 1% 오르면, ETF도 약 1% 오른다
  2. 섹터형 ETF
    • 산업군(에너지, IT, 금융 등)에 투자
    • 예: 반도체 섹터 ETF는 반도체 관련 여러 기업이 포함됨
  3. 테마형 ETF
    • 특정 트렌드나 기술 중심 (AI, 전기차, 로봇 등)
    • 섹터형과 비슷하지만 산업보단 ‘이야기 중심’
  4. 배당형 ETF
    • 배당금을 많이 주는 회사 중심으로 구성
    • 정기적으로 수익을 얻고 싶은 투자자에게 적합
    • 최근에는 월배당 ETF도 인기. 매달 배당을 지급함

 


📌 ETF는 다양한 자산에 투자할 수 있다

 

  • 주식뿐 아니라
    금, 은, 원유, 구리 같은 원자재
    미국 국채 같은 채권에도 투자 가능하다.

 

채권은 쉽게 말해 ‘정부나 기업이 발행한 차용증’이다.


약속한 이자와 함께 일정 기간 후 돈을 갚겠다는 내용이다.

 

신용 등급이 낮은 기업이 발행한 채권은 하이일드 채권이라고 하며,


수익률은 높지만 그만큼 리스크도 크다.


📌레버리지 ETF

 

‘레버리지’는 지렛대라는 뜻처럼, 빚을 이용해 투자 규모를 키우는 방식이다.

 

  • 예: 2배 레버리지 ETF는 지수가 1% 오르면 2% 수익
  • 반대로 지수가 떨어지면 손실도 2배

 

그리고 주의할 점이 있다.


레버리지는 하루 단위 수익률을 기준으로 반영되기 때문에


지수가 오르락내리락하면 손해를 볼 수 있다.


이걸 ‘음의 복리 효과’라고 한다.

 

 

예:


10% 하락 후 다시 10% 상승하면
자산은 100 → 90 → 99로 실제로는 -1% 손실.
레버리지는 이 폭이 더 크다.

 

👉 그래서 레버리지 ETF는 장기 투자에 적합하지 않다.

 


📌인버스 ETF

 

‘인버스’는 지수가 떨어지면 수익이 나는 구조다.


하락장에 수익을 노릴 수 있지만,


이 역시 매일 수익률 기준이라 장기 투자에는 부적절하다.

 


📌 정리

 

ETF는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 지수형 ETF: 주가지수 따라감
  • 섹터형 ETF: 산업군 중심
  • 테마형 ETF: 트렌드 중심
  • 배당형 ETF: 배당 수익 중심

 

 

추가로

  • 원자재, 채권, 외환 등 다양한 자산에 분산 투자 가능
  • 레버리지/인버스 ETF는 단기 투자가 기본, 장기 투자에는 주의 필요

 


 

ETF는 초보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좋은 투자 도구다.


주식을 직접 고르기 어렵거나, 리스크가 부담스러운 사람이라면


ETF를 통해 분산 투자장기 수익을 노려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728x90
반응형
LIST

'Odds and Ends > econ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상식] 6. 환율  (5) 2025.07.09
[경제상식] 5. ETF (2)  (4) 2025.07.08
[경제상식] 3. 미국 주식  (6) 2025.07.02
[경제상식] 2. 주식 기초  (2) 2025.06.27
[경제상식] 1. 주택청약 완전정복  (2) 2025.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