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변수 4

[자바의 정석] 변수 - 변수의 타입

📌 변수의 타입 ● 변수의 타입은 크게 '기본형' 과 '참조형'으로 나뉜다 ● 기본형 변수 - 실제 값(data)을 저장한다. - 즉, 계산을 위한 실제 값을 저장한다 - 논리형(boolean) , 문자형(char) , 정수형(byte, short, int, long) , 실수형(float, double) 총 8개 - 기본형의 종류와 크기 1 byte 2 byte 3 byte 4 byte 논리형 boolean 문자형 char 정수형 byte short int long 실수형 float double ● 참조형 변수 - 어떤 값이 저장되어 있는 주소(memory address)를 값으로 갖는다. - 즉, 객체의 주소를 저장한다. - 8개의 기본형을 제외한 나머지 타입이 해당 ● 상수와 리터럴 - 상수(con..

JAVA/JAVA의 정석 2021.12.13

[자바의 정석] 변수 - 변수의 선언과 저장

public class VarEx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 두 변수의 값을 교환하기 ------ int x = 10; int y = 20; int temp = 0; // x값을 임시로 저장할 변수를 선언한다 System.out.println(" x : " + x + " y :" + y); // x의 값은 10, y의 값은 20 temp = x; //변수 x에 저장된 값인 10이 temp에 저장된다 x = y; // 변수 y에 저장된 값인 20이 x에 저장된다 y = temp; // 변수 temp에 저장된 값인 10이 y에 저장된다 System.out.println(" x :" + x + " y :" + y); // x의 값은 20, ..

JAVA/JAVA의 정석 2021.12.13

[JAVA기초] 변수(variable) - 변수의 기본 , 기본형 변수

📌변수란 값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다. 즉, 데이터(data)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을 의미하며, 수시로 값이 변경될 수 있고 하나의 값만 저장할 수 있다. 변수를 선언하는데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ber1; // int형 타입의 number1이라는 변수를 선언한다. number1 =1; // number1에 1을 대입한다. System.out.println(number1); // number1을 출력한다 = 1 변수를 선언하고 별도로 숫자를 대입하는 방법과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ber1 = 1; // ..

JAVA/JAVA기초 2021.10.31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