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전체 글 312

[영화] TITANIC - Jack Dawson "Make it count"

https://youtu.be/4J4MBgsp_io I mean, I've got everything I need right here with me. 전 필요한 건 전부 가졌어요. I got air in my lungs and a few blank sheets of paper. 제가 숨 쉴 공기와 그림 그릴 종이도 있죠. I mean, I love waking up in the morning not knowing what's gonna happen.. or who I'm gonna meet.. where I'm gonna wind up. 더욱 행복한 것은 하루하루가 예측 불가능하며, 누굴 만날지도 모르고, 어딜 갈지도 모른다는 거죠. Just the other night I was sleeping und..

Movie&Drama 2023.07.09

Correspondence Letter 받았다.

아침 7시에 갑자기 메일이 와서 확인했더니, 드디어..결과가 나왔다. request 메일 받았을땐 아..안되는건가 생각했는데 답변보내고 딱 한달만에 받았네.. 원래 내년 3월이나 4월에 가고싶었는데.. biometric date가 2월까지라 더 추가 비용들기전에 출국해야할 것 같다. 아님 신검 한번 더 받고 연장하던지.. 근데 20만원 추가비용 사악하잖아.. 아니면 아예 올해 10월쯤 출국할까 그러면 9월중순쯤 퇴사하고 좀 빠듯할 것 같긴한데.. 1~2년 단순히 가벼운 마음으로 가려는 것이 아니라 영주권 취득을 위해 어쩌면 내 남은 인생을 살기위해 가는 것이라 간다면 좀더 철저하게 준비해서 가고싶다. 출국하는 그날까지 열심히 돈모으고 영어공부하고 자격증도 더 따고 내사람들에게 아낌없이 사랑하기 후회없는 ..

Thinking about 2023.05.13

[네트워크기초이론] 6. 멀리 있는 컴퓨터끼리는 이렇게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 IPv4가 하는 일 -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 - 데이터가 정확하게 전달될 것을 보장하지 않는다. - 중복된 패킷을 전달하거나 패킷의 순서를 잘못 전달할 가능성도 있다. (악의적으로 이용되면 Dos 공격이 됨) - 데이터의 정확하고 순차적인 전달은 그보다 상위 프로토콜인 TCP에서 보장한다. 📌 IPv4 프로토콜의 구조 Version -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으로 IPv4인지 IPv6인지 구별하기 위해 사용 - IPv4 일 경우 4, IPv6 일 경우 6 - 일반적으로 IPv4 사용 Header Length - 헤더의 길이를 나타냄 이것을 보고 IP헤더의 길이를 알 수 있다. (최소 20byte 최대 40byte - 4byte단위로 표현) - IP헤더를 보고 데이터의 시작을 알..

[네트워크기초이론] 5. 통신하기 전 반드시 필요한 ARP 프로토콜

📌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 📌 ARP 가 하는 일 - ARP 프로토콜은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을 하기 위해 필요한 MAC주소를 IP주소를 이용하여 알아내는 프로토콜이다. -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 통신을 한다고 하더라도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서는 7계층부터 캡슐화를 통해 데이터를 보내기 때문에 IP주소와 MAC 주소 모두 필요하다. - 이때, IP 주소는 알고 MAC주소는 모르더라도 ARP를 통하여 통신이 가능하다. - 통신 했던 컴퓨터들의 주소는 ARP 테이블에 남는다. 📌 ARP 의 구조 - 하드웨어 타입 : 2계층 주소의 타입, MAC 주소밖에 없다. 0x0001 - 프로토콜 타입 : 3계층 주소의 타입, IPv4 주소밖에 없..

[네트워크기초이론] 4. 실제로 컴퓨터끼리는 IP주소를 사용해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 3계층이 하는 일 - 3계층은 다른 네트워크 대역 즉, 멀리 떨어진 곳에 존재하는 네트워크까지 어떻게 데이터를 전달할 지 제어하는 일을 담당 - 발신에서 착신까지의 패킷의 경로를 제어한다. 📌 3계층에서 쓰는 주소 - WAN에서 통신할 때 사용하는 = IP 주소 - 3계층 주소 체계, Internet Protocol Address Version 4 논리적인 주소 32bit 4바이트 📌 IP 주소 표기 방식 - 10진수로 표기하며 192.168.0.100 다음과 같이 각 필드를 .으로 구분한다. - 각 필드는 0~255까지 올 수 있고 이는 1바이트로 표현할 수 있는 수이다. - 0.0.0.0 ~ 255.255.255.255 - 00000000 . 00000000 . 00000000 . 00000000..

[네트워크기초이론] 3. 가까이 있는 컴퓨터끼리는 이렇게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 2계층의 기능 - 2계층은 하나의 네트워크 대역 즉, 같은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여러 장비들 중에서 어떤 장비가 어떤 장비에게 보내는 데이터를 전달 - 추가적으로 오류제어, 흐름제어 수행 📌 2계층의 네트워크 크기 - 2계층은 하나의 네트워크 대역 LAN에서만 통신할 때 사용한다. -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할 때는 항상 3계층이 도와주어야 한다. - 3계층의 주소와 3계층의 프로토콜을 이요하여야만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이 가능하다. 📌 2계층에서 사용하는 주소 물리적인 주소 = LAN에서 통신할 때 사용하는 MAC 주소 📌 2계층의 프로토콜 LAN에서 통신할 때 사용하는 Ethernet 프로토콜 📌 실습1- 내 PC의 MAC 주소 확인해보기 1. CMD 실행 > ipconfig /all 2. 물리적 주..

[네트워크기초이론] 2. 네트워크의 기준/ 네트워크 모델

📌 TCP/ IP 모델 - 1960년대 말 미국 방성의 연구에서 시작되어 1980년대 초 프로토콜 모델로 공개 - 현재의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 받는데 쓰이는 통신 규약(프로토콜)의 모음이다. 📌 OSI 7 계층 - 1984년 네트워크 통신을 체계적으로 다루는 ISO에서 표준으로 지정한 모델 -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데이터 자체의 흐름을 각 구간별로 나눠 놓은 것 📌 두 모델 비교 TCP/IP 모델 OSI 7 계층 데이터 전송기술 특화 통신 전반에 대한 표준 프로토콜 기반 / 실무적 역할 기반 / 논리적 - 계층적 네트워크 모델 - 계층간 역할 정의 📌 패킷(packet)이란? - 패킷이란 네트워크 상에서 전달되는 데이터를 통칭하는 말로 네트워크에서 전달하는 데이터의 형식화된 블록이다...

[네트워크기초이론] 1.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 노드들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디지컬 전기 통신망의 하나이다. - 즉, 분산되어 있는 컴퓨터를 통신망으로 연결한 것을 말한다. - 네트워크에서 여러 장치들은 노드 간 연결을 사용하여 서로에게 데이터를 교환한다. * 노드 : 네트워크에 속한 컴퓨터 또는 통신 장비를 뜻하는 말 📌 인터넷이란? - 문서, 그림 영상과 같은 여러가지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구성된 세상에서 가장 큰 전세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 흔히 www 를 인터넷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www는 인터넷을 통해 웹과 관련된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이다. 📌 네트워크의 분류 - 크기에 따른 분류 LAN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 LAN은 가까운 지역을 ..

Between calm and passion

https://youtu.be/jySSYYXOpU0준세이가 아오이에게https://youtu.be/xCpxN0tQsMo과거도 미래도 아닌 현재를 살아가야 한다는 것퇴근길에냉정과 열정사이 ost 듣다가갑자기 추억에 잠겨버림책 보다 훨씬 좋았던 영화수없이도 보고 또 본 영화특히, 준세이의 편지부분과 마지막 장면은일본어로 된 대사 프린트까지 해서외우곤 했다.이 영화를 처음 봤을 때,30살엔 무조건 피렌체 두오모성당에 가야지 했는데...

Thinking about 2023.03.03

[이것이 자바다] 2장. 변수(2)

📌 리터럴(literal) - 소스 코드 내에서 직접 입력된 값 - 종류 : 정수 리터럴, 실수 리터럴, 문자 리터럴, 문자열 리터럴, 논리 리터럴 📌 정수 리터럴 - 소수점이 없는 정수 리터럴은 10진수로 간주한다. 0, 75, -100 - 0으로 시작되는 리터럴은 8진수로 간주한다. 02, -04 - 0x 또는 0X로 시작하고 0~9 숫자나, A, B, C, D, E, F 또는 a , b, c, d, e, f, 로 구성된 리터럴은 16진수로 간주한다. 0x5, 0xA, 0xB3, 0xAC08 - 정수 리터럴을 저장할 수 있는 타입은 byte, char, short, int, long과 같이 5개가 있다. package sec01; public class LiteralExample { public st..

JAVA/JAVA기초 2023.01.31

[이것이 자바다] 2장. 변수(1)

📌 변수란? - 변수란,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이다. 📌 변수의 선언 타입 변수이름 ; 📌 변수 이름을 위한 명명 규칙 작성 규칙 예 첫번째 글짜는 문자이거나 '$', '_'여야 하고 숫자로 시작할 수 없다(필수) 가능 : price, Sprite, _companyName 불가능 : 1v, @sppedd, s#vale 영어 대소문자가 구분된다(필수) firstname과 firstName은 서로 다른 변수 첫문자는 영어 소문자로 시작하되, 다른 단어가 붙을 경우 첫자를 대문자로 한다 maxSpeed, firstName, carBodyColor 문자 수(길이)의 제한은 없다 자바 예약어는 사용할 수 없다(필수) 📌 변수 값 저장 int score; // 변수 선언 score = 90; //..

JAVA/JAVA기초 2023.01.31
728x90
반응형
LIST